처음 리액트를 온라인강의를 통해서 배웠다. 리액트가 뭔지, 리액트를 왜 쓰는지, 리액트의 문법 구조 등을 배웠다.
리액트는 사용자 UI를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JS 라이브러리 내지 프레임워크이며, SPA를 쉽게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예를들어 페이스북 같은 경우 유저가 상호작용해서 다시 페이지를 그려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호작용 할때마다 전체 페이지를 다시 불러오면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일부 페이지만을 갱신하여 리랜더링하는데, 이때 SPA으로 만든다. 그런데 이를 기존의 html, css, JS 를 이용해서 만드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하면 서로간의 코드 연관성을 찾는것도 어려워지고 일부분을 리랜더링 하는데 꽤 복잡한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 이 일련의 과정들을 한 곳에 묶음으로써 개발하는 문법인 JSX를 만들어 리액트에서는 컴포넌트 단위로 쉽게 SPA를 개발할 수 있다.
State 관리에 대해서는 아직 하나도 모르겠다.
CRA를 사용하지 않고 공부하는것이 도움이 될까?
재밌다. 리액트를 왜 사용하는지도 어느정도 알게된거같다. 문법도 크게 어렵지 않고,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크게 없다. 기존의 바닐라자바스크립트로 프로젝트를 해봤기때문에, 리액트를 왜 사용하는지 더 와닿는거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