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공부한 내용 📋

리액트의 props, state에 대해서 배우고, 이벤트의 정의, 리액트에서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식, 매개변수가 있는 이벤트핸들러를 전달하는 방법, 생명주기의 정의,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클래스 컴포넌트에는 생명주기 메서드가 있고 함수형에는 없는데 이후에 나온것이 Hook. 그리고 조건부 렌더링과 다수의 리스트와 같은 것들을 동시에 랜더링할때 필요한 key 등을 배웠다.

어려웠던 내용 🤢

한번에 많이 배워서 코드를 처음부터 짜라고 하면 잘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궁금한 내용 🧐

그래서 함수형 컴포넌트와 클래스형 컴포넌트중 현재 뭘 사용하는가? key는 보통 어떻게 주는가, 조건부 렌더링은 어떻게 하는가 등 리액트가 문법은 정해져 있어도 코드 스타일은 굉장히 다양하게 나올텐데 주로 어떻게 짜는게 좋은지 궁금하다.

느낀 점 🤔

바닐라JS로 코딩을 하다가 오니 props, state를 왜 사용하는지 알거같고 재밌다. 만약 몇년 전 아니 1년 전의 내가 이 코스를 들으며 수업을 들었다면 지금처럼 재밌지는 않았을거같다. 역시 뭐든 배우면 배울수록 재밌는거같다. 특히 재밌었던 점은 클래스 컴포넌트에는 생명주기 메서드가 있는데 함수형 컴포넌트에는 없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함수형 컴포넌트는 부족한 녀석인가? 하고 생각해서 검색해봤는데 앞으로 배우게 될 Hook이 이 역할을 해주는 녀석인것 같다.